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 본관에서는 9월 1일부터 11월 20일까지 “춤추는 낱말”전을 개최한다. 2014년부터 ‘비서구 지역 전시 시리즈’를 추진해 온 서울시립미술관은 올해 아시아를 조명한다.
전시는 아시아 지역에 기반을 두거나 아시아를 둘러싼 다양한 이슈를 다뤄 온 여러 국가 출신의 작가, 기획자, 연구자, 음악가 등 14 작가 및 팀이 참여하며 작품으로는 드로잉, 콜라주, 영상, 퍼포먼스, 워크숍, 라디오 송출 등이 전시되고 있다.
전시에서 말하는 아시아 정체성은 국가, 인종, 민족에 국한되지 않으며 단일한 지역적 정체성을 모색하지도 않는다. 다만, 전시는 아시아 지역에서 경험할 수 있는 고유한 특성을 중심으로 여러 담론과 사유가 이뤄지는 장으로서 역할을 하고 ‘아시아’적인 것으로 수렴될 수 있는 특정한 생각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질문으로 꾸려졌다.
전시는 한 편의 시를 중심으로 기획되었다. 그 시에 나오는 낱말과 시구는 출품된 작품에서 발췌하거나 참여 작가의 말을 선별하여 재배열한 것이다. 미술관에 따르면 전시는 참여 작가 공동의 심상을 담은 대중의 노래이자 저항 언어로 해석하며, 아시아를 둘러싼 문화적·집단적 현상을 조망할 수 있는 매개이다.
참여 작가들은 식민, 독재, 개발 등 다사다난한 근현대 역사를 지닌 아시아의 정치, 사회, 문화 운동의 현상을 포괄하는 작품을 만들어 어떻게 아시아라는 고유성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새로운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집단으로서 연결을 확보할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을 탐구한다.
참여 작가 중 한국 작가로는 영상, 조각, 설치 등을 통해 전통을 동시대의 관점에서 동시대 재해석하고 회화를 재정의하는 강서경 작가, 권력적 위계 구조를 허물고 ‘동등성’에 대한 이야기를 펼치고자 설치, 퍼포먼스, 드로잉, 자수, 사운드 등 다양한 매체로 작업하는 홍영인 작가, 그리고 사진을 통해 여성 또는 사랑을 바라보는 사회의 다양한 시각을 다루는 작업을 하는 황예지 작가, 그리고 아시아의 실험/즉흥/독립 음악의 음향적 네트워크를 만드는 프로젝트 에이 멜팅 팟이 있다.
그 외에 다나카 고키, 티파니 샤, 출라얀논 시리폰, 좀펫 쿠스위다난토, 헤라 찬&에드윈 나스르와 사샤 카라리취, 캠프 등이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